미해결의 장
정관, 김혜주
Unresloved Chpater
Jeong Kwan, Kim Hyeju
2023.8.16.-9.9.
복합적 다매체가 널리 쓰이기 시작한 뒤로, 미술계에서 장르상의 분야를 나누어 각각의 예술적 가치를 논하는 것은 이제 거의 무의미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동시대 미술의 파고는 공예 작가들에게 통념을 뛰어넘고 장르를 허물어야 한다는 생산적인 압력을 부과하고 있다. 그리하여 공예는 점차 얌전하고 정적인 장식과 쓰임을 넘어 제 영역을 확장해 가고 있다. 갤러리 지우헌은 8월 16 일부터 9월 9일까지 정관, 김혜주의 2인 전 《 미해결의 장(Unresolved Chapter) 》에서 이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다.
정관은 공예의 정체성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는 작가이다. 뉴욕 시라큐스 대학(Syracuse University)에서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도예 과정을 배운 그는, 한국의 공예가 가진 경직성과 엄숙함을 해소하고자 과감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그의 작품은 전통적인 도자 양식에서는 실패로 불릴 수 있는 형태이다. 그러나 그는 ‘실패의 균열’을 통해 공예의 새로운 변화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번 전시에 선보인 대표작 < What to Value > 시리즈는 공예에서 자주 언급되는 ‘기술’, ‘기능’, ‘숙련’, ‘완성도’ 와 같은 단어를 전통 찻잔의 꽃무늬 패턴과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 그의 대표적 기법인, 파편화된 유약이 흘러내린 형체로 백자 위를 감싼다. 장군병(분청)의 형태에 소반 다리를 붙인 작품과 투명 아크릴판을 켜켜이 쌓아 도자의 형상을 안으로 투사한 작품 < 보전(preserved) >도 눈 여겨 볼만 하다. 공예적 형상을 유지하되 질료와 형식을 현대적으로 변주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긴장에 대한 고민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정관의 작품은 관습의 수용과 위반 사이에서 ‘역설적인 공예’의 형태를 조형해 낸다. 일견 팝아트적인 화려한 톤으로 도자의 색다른 매력을 표출하는 것 같지만, 그 내면에는 모호해진 형태로부터 형성되는 도자의 실존에 대한 질문을 품고 있다.
김혜주는 도예에 사운드와 영상을 접목시켜 공감각적 설치 방식을 실험하는 작가이다. 그는 도자의 마지막 공정 과정인 유약을 바르고 굽는 제작 공정을 무형의 형태로 대체하는 파격적인 실험을 통해 작품에 색다른 완결성을 부여한다. 주된 소재는 ‘미분음’인데, 이는 음계에서 반음보다 작은 음정을 가리키는 음악용어로, 학창시절 전공한 바이올린 특기를 살려 도자에 접목시킨 것이 그 시발점이었다. < 음의 조각들; 미분음 >은 도자 원형이 수분함량과 굽기에 따라 미세한 형태의 차이를 보이는 데에서 착안한 비디오 설치 작품이다. 미분음을 의미하는 고운 백조형토 원형 판 40개를 벽에 설치하고, 디지털로 복제한 영상을 그 판에 왜곡되게 투사하여 도자제작 방식의 마지막 단계를 대체했다. 이는 공예가 현대미술 안에서 배회하는 듯한 느낌을 주면서 동시대성을 지켜갈 수 있는 가능성을 내보인다. 도자와 미디어, 사운드 아트가 서로 밀어내며 경합하다가 모종의 균형 속에서 공명하는 장면이 그려지는 것이다.
이번 전시를 위한 두 사람의 협업 작품인 < 미해결의 장 >에서는 밑이 녹아내린 형태로 뚫린 민무늬의 백자를 정관이 만들고, 그 위에 ‘미해결’, ‘불완전’, ‘완성도’와 같은 한글 단어를 도식화한 영상을 김혜주가 만들어 얹었다. 전통 없이는 존재할 수 없어 발생하는 고전적 공예의 한계와, 그 한계를 양가적으로 돌파해야 하는 현대 공예의 고민을 함축해 보여주는 작품이다.
본 전시는 공예가 전통 관습을 버리는 시도를 거쳐야만 현대미술에 편입할 수 있는지 질문하고 있다. 이를 통해 관객은 낡은 것과 새로운 것, 완성과 미완성, 해결과 미해결을 둘러싼 물음과 함께, 공예와 현대미술의 공존- 혹은 공명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prevalence of complex multimedia, it has nearly become pointless to discuss the artistic merits of each genre in a separate manner within the art scene. However, the wave of contemporary art has put a productive pressure on craft artists to push beyond convention and break down the boundaries of genres. As a result, crafts are gradually expanding their scope beyond its mundane and static decoration and use. Against such backdrop, Gallery Jiwooheon is pleased to announce the opening of Unresolved Chapter, a two-person exhibition by Jeong Kwan and Kim Hyeju, from August 16 to September 9.
Jeong Kwan constantly questions the identity of craft. Trained in an avant-garde and experimental ceramics course at Syracuse University in New York, he has been making bold works to break the rigidity and solemnity of Korean crafts. Jeong’s works would often be deemed as a failure in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ceramic, but he suggests new possibilities for change in crafts by suggesting the concept of ‘cracks of failure.’
His major work, What to Value series that the exhibition sheds light on, combines words that are frequently mentioned in crafts such as ‘skill,’ ‘function,’ ‘craftsmanship,’ and ‘perfection’ with the floral patterns of vintage tea cup. The work involves Jeong’s signature technique where fragmented glaze flows and covers the white porcelain. Also noteworthy are Preserved series, the artworks where Jeong stacked up transparent acrylic plates on the side of each other, projecting the shape of a porcelain from inside as well as a work where the legs of Soban table are attached to the Janggun-jar shaped bottle. In Preserved series, Jeong transforms the texture and shape into a modern one while maintaining the form of crafts, leaving his works to ponder upon the tension that arises from such artistic process. His works create a form of 'paradoxical craft' between the acceptance and violation of tradition. At first glance, the colorful tones of pop art seem to express the unconventional charm of ceramics, but underneath the surface, the artist is asking questions about the existence of ceramics that are formed from ambiguous forms.
Hyeju Kim experiments with synaesthetic installations by incorporating sound and video into ceramics. With bold experiments involving the replacing of the final process of glazing and firing ceramics with an intangible form, Kim gives her works a unique sense of completeness. The main material is a ‘microtone,’ a musical term for a pitch that is less than a half note in a musical scale, which she began to use in ceramics by utilizing her speciality in violin, which she majored in during her undergraduate studies. Pieces of Note; Microtone is a video installation inspired by the fact that porcelain shows subtle differences in shape depending on their moisture content and firing. Forty circular plates of fine white porcelain clay, representing microtones, were installed on the wall, and a digitally reproduced video was projected onto the plates in a distorted manner, replacing the final step of the pottery-making process. This gives the impression that the craft is wandering within contemporary art, and offers the possibility of maintaining its contemporaneity. This in turn creates a scene in which ceramics, media, and sound art compete with each other, pushing each other out of the way and resonating in some sort of balance.
In their collaborative work for the exhibition, Unresolved Chapter, Jeong made a pure white porcelain pierced with a molten form underneath, and Kim made a video on top of it that depicted Korean words such as 'unresolved,' 'incomplete,' and 'completeness'. The work implies the limitations of classical crafts, which cannot exist without tradition, and the concerns of contemporary crafts, which must ambivalently break through those limitations.
The exhibition raises the question whether craft can only be incorporated into contemporary art through an attempt to abandon traditional practices. In doing so, the audience may be invited to ponder upon the coexistence - or resonance - of craft and contemporary art, with questions surrounding the old and the new, the fulfilled and the unfilled, the resolved and the unresolved.
작가 소개
정관은 국민대학교 도예과를 졸업(2013) 후 뉴욕 시라큐스대학 VPA 도예과 석사학위(2018)를 받았고, 현재 국민대학교 박사과정에 있다. 개인전으로 (2019, 갤러리밈)와 2013공예트랜드페어에서 부스 개인전(2013, C.O.C Ceramic Studio)을 가졌다. 한국을 대표하는 도예작가로 경기도자미술관과 함께 <숨겨진 빛 : 한국의 현대도예> 벨기에, 프랑스 순회전시(2022)를 가졌으며, 이 외에도 뉴욕, 피라델피아, 영국, 일본 등의 그룹전에도 다수 참여했다. 패션브랜드 ‘얼킨(ULKIN)과 이솝(Aesop) 부산스토어와 커미션 작업을 했다. 미국NCECA(미국도자교육평의회) 학생공모전 대상(2017), 행주공예미술대전 특선(2017), 제9회 경찰문화대전 금상/은상(2007/2008) 등 다수의 수상경력을 갖고 있다. 현재 국민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에 출강 중이다.
김혜주는 서울여자대학교 조형학과 석사과정에 있는 신예로, 중랑아트센터(2022), 바롬갤러리(2021), 공예트렌트페어(2020)에서 그룹전 참여 경력을 갖고 있으나, 작품을 정식으로 선보이는 것은 갤러리 지우헌이 처음이다. 클래식 악기를 다루는 특기를 살려 영상과 사운드를 직접 만들고, 이를 도자와 결합한 과감한 실험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공예의 다양한 영역 확장에 기여할 앞으로의 향방이 기대되어 발굴한 갤러리 지우헌 신진작가이다.
Jeong Kwan graduated from Kookmin University with a BFA in ceramics (2013) and received an MFA in ceramics from Syracuse University VPA, New York (2018), and is currently a PhD candidate at Kookmin University. He has held solo exhibitions What to Value (2019, Gallery Meme) and a booth exhibition at the 2013 Craft Trend Fair (2013, C.O.C Ceramic Studio). As a representative ceramic artist in Korea, he traveled to Belgium and France with the Gyeongji Museum of Ceramic Art to exhibit Hidden Colours: Contemporary Korean Ceramics(2022), and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group exhibitions in New York, Philadelphia, England, and Japan. He has worked on commissions for fashion brands ULKIN and Aesop's Pusan store. He has won numerous awards, including the Grand Prize at the NCECA (National Ceramics Education Council of America) Student Competition (2017), the Special Prize at the Dishcloth Art Exhibition (2017), and the Gold/Silver Prize at the 9th Police Culture Exhibition (2007/2008). He currently teaches at Kookmin University and Ewha Woman's University.
Kim Hyeju is an emerging artist in the MFA program at Seoul Women's University, and has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Jungnang Art Center (2022), Barom Gallery (2021), and Craft Trend Fair (2020), but her works are officially exhibited at Gallery Jiwooheon. She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with her bold experimental method of creating images videos and sounds by using her talent for classical instruments and combining them with ceramics, and has been identified by Gallery Jiwooheon as an artist who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various areas of craft going forward.
관람 안내
기간 2023. 8. 16(수)~9. 9(토), 일요일/월요일/공휴일 휴관
시간 10:30~18:30 (종료 30분 전 입장 마감)
장소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11라길 13
오프닝 8. 16(수), 오후 5시
오프닝 협찬 화요, 북촌막걸리(노스텔지어)
문의 02-765-7694 (전시/작품구매 문의)
2023.8.16.-9.9.
10:30-18:30
Openig reception : 8.16 5PM~
Opening Sponsored by: HWAYO, Bukchon Makgeolli(Nostalgia)
Closed on Sundays, Mondays, Holidays
13, Bukchon-ro 11ra-gil, Jongno-gu, Seoul
Tel : 82-2-765-7694 (Inquire)
<Unresolved Chapter - Installation view, Courtesy of Designhouse.Inc>
<Unresolved Chapter - Installation view, Courtesy of Designhouse.Inc>
정관, 김혜주 < 미해결의 장 >, 2023. 백자토, 물레성형, 색유, 산화소성 싱글채널 비디오(컬러), 60초, (백자) Ø 22, 50(h) cm
Jeong Kwan, Kim Hyeju Unresolved Chapter, 2023. Porcelain, wheel throwing, colored glaze, oxidation firing Single channel video(black&white), 60sec, (white porcelain) Ø 22, 50(h) 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Designhouse.Inc
김혜주 < 음의 불확정성; A•••••G >, 2022. 싱글채널 비디오(흑백), 1분 8초
Kim Hyeju, Indeterminacy of Note; A•••••G, 2022. Single channel sound video(black&white), 1min 8sec
Courtesy of the Artist and Designhouse.Inc
김혜주 < 1/x,1/xx,1/xxx•••••B >, 2023. 고운백조형토, 판선형, 산화소성, 유닛 25개 가변설치
Kim Hyeju, 1/x,1/xx,1/xxx•••••B, 2023. Slab building, oxidation firing, clay(unit 25), Dimensions Variable
Courtesy of the Artist and Designhouse.Inc
정관 < Preserved_G#1 >, 2022. 아크릴, 빈티지 자개장, (사각) 30 x 25 x 55(h) cm, (원형) Ø 20 x 41(h) cm, (빈티지 자개장) 28.5 x 90 x 51(h) cm
정관 < Preserved_A#2 >, 2022. 혼합토에 백유, 큐빅, 산화소성, 나무 좌대, (백자) Ø 25 x 55(h) cm, (나무좌대) 40 x 40 x 80(h) cm
Jeong Kwan, Preserved_G#2, 2022. Acrylic, mother of pearl cabinet, (square) 30 x 25 x 55(h) cm, (round) Ø 20 x 41(h) cm, (cabinet) 28.5 x 90 x 51(h) cm
Jeong Kwan, Preserved_A#2, 2022. Mixed clay, white glaze, cubix zirconia, oxidation firing, wood box (white porcelain) Ø 25 x 55(h) cm (wood box) 40 x 40 x 80(h) 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Designhouse.Inc
정관 < Preserved_G#1 >, 2022. 아크릴, 빈티지 자개장, (사각) 30 x 25 x 55(h) cm, (원형) Ø 20 x 41(h) cm, (빈티지 자개장) 28.5 x 90 x 51(h) cm
Jeong Kwan, Preserved_G#2, 2022. Acrylic, mother of pearl cabinet, (square) 30 x 25 x 55(h) cm, (round) Ø 20 x 41(h) cm, (cabinet) 28.5 x 90 x 51(h) 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Designhouse.Inc
정관 < What to Value_B#1 >, 2023. 혼합토에 백유, 산화소성 후 전사, Ø 22 x 54(h) cm
정관 < Transition >, 2023. 혼합토에 백유, 청화, 산화소성 Ø 23, 58(h) cm
Jeong Kwan, What to Value_B#1, 2023. Mixed clay, white glaze, decal after oxidation firing, Ø 22 x 54(h) cm
Jeong Kwan, Transition, 2023. Mixed clay, white glaze, Cheonghwa technique, oxidation firing Ø 23, 58(h) 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Designhouse.Inc
정관 < What to Value_B#2 >, 2023. 혼합토에 백유, 산화소성 후 전사, 27 x 13 x 22(h) cm
정관 < What to Value_B#3 >, 2023. 혼합토에 백유, 산화소성 후 전사, 27 x 13 x 22(h) cm
Jeong Kwan, What to Value_B#2, 2023. Mixed clay, white glaze, decal after oxidation firing, Ø 22 x 54(h) cm
Jeong Kwan, What to Value_B#3, 2023. Mixed clay, white glaze, decal after oxidation firing, Ø 22 x 54(h) 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Designhouse.Inc
정관 < Transition_A#1 >, 2023. 혼합토에 백유, 청화, 산화소성, 50 x 46 cm
정관 < Transition_A#2 >, 2023. 혼합토에 백유, 청화, 산화소성 , 41 x 36 cm
Jeong Kwan, Transition_A#1, 2023. Mixed clay, white glaze, Cheonghwa technique, oxidation firing, 50 x 46 cm
Jeong Kwan, Transition_A#2, 2023. Mixed clay, white glaze, Cheonghwa technique, oxidation firing, 41 x 36 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Designhouse.Inc
김혜주 < 음의 조각들_미분음 B >, 2023. 고운백조형토 판 40개, 판성형, 산화소성 싱글채널 비디오(흑백), 12초, 가변설치
Kim Hyeju, Pieces of Note; Microtone B, 2023. Single channel video(black&white), 12sec, Slab building, oxidation firing, clay(unit 40), Dimensions Variable
Courtesy of the Artist and Designhouse.Inc
김혜주 < 음의 조각들_미분음 A mini >, 2023. 고운백조형토, 판성형, 자작나무, 35 x 24 cm
Kim Hyeju, Pieces of Note; Microtone A mini, 2023. Coiling, birch, clay, 35 x 24 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Designhouse.Inc
<작가 김혜주, 정관 Artist. Kim Hyejoo, Jeong Kwan, Courtesy of Designhouse.Inc>
갤러리 지우헌은 ㈜디자인하우스에서 운영하는 전시공간으로 북촌 한옥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한옥을 개조한 독특한 구조로 전통적인 미감과 현대적인 편의성을 두루 갖추고 있으며, 2016서울우수한옥으로 선정되었을 만큼 뛰어난 건축미를 갖고 있다. 과거의 역사를 담고 있는 공간에서 현대미술을 조명하는 시공간적 특징을 가진 갤러리로서 동시대 미술의 흐름에 동참하며 국내·외 신진작가 발굴과 후원에 힘쓰고 있다.
Gallery Jiwooheon is an exhibition venue operated by Designhouse, Inc., located in Bukchon Hanok Village. It was selected as the 2016 Seoul Excellent Hanok for its distinctive structure remodeled from a hanok, which offers both traditional aesthetics and contemporary convenience and has remarkable architectural beauty. It aspires to identify outstanding new artists at home and abroad while supporting the trend of contemporary art as a gallery with temporal and spatial qualities that shines a light on contemporary art in a space possessing the history of the past.
- 큐레이터 김아름 Areum Kim, Curator | areum.kim@design.co.kr
- Instagram : @jiwooheon_dh